본문 바로가기
Medical Info/눈.코.귀.인후(otorhinolaryngo)

사시의 원인, 유전, 증상, 테스트

by 가늬상식 2022. 12. 6.
반응형


안녕하세요:)
의사와 간호사의 의학정보 가늬상식입니다!
오늘 다뤄볼 내용은 사시(Strabismus)인데요🙂
언젠가 한 번쯤 '나 혹시 사시인건 아니겠지?' 라고 생각하거나 부모라면 '우리 아이가 사시인걸까?' 라고 생각하신적 있으실거에요. 저희 병원에서도 사시 수술을 꽤나 많이 하기도 해서 이번엔 사시의 원인, 유전, 증상, 테스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 사시란

두 눈이 똑바로 정렬되어 있지 않은 상태. 어떤 물체를 주시할 때 한쪽 눈의 시선은 그 물체를 향해 있지만, 다른 눈은 그렇지 못한 경우

* 원인

사시는 원인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태어날 때부터 생길 수도 있고, 성장하면서 생길 수도 있고, 성인이 돼서도 생길 수 있습니다.

해부학적 원인
- 외상에 의한 안와의 골절
- 선천성 안와 기형
- 두개골 모양의 이상
- 갑상선 질환에 의한 사시
- 외안근의 구조적 이상

신경학적 원인
- 근무력증
- 일부 뇌신경 마비

유전적 원인
- 사시 자체의 유전보다는 사시가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이 유전되는 것

* 증상

사시는 원인, 모양, 발병 양상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합니다.

눈의 모양

- 내사시 : 눈이 안으로 몰리는 경우
- 외사시 : 눈이 밖으로 나가는 경우
- 상사시 : 눈이 위로 올라가는 경우
- 하사시 : 눈이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
- 잠복 사시 : 평상시에는 두 눈이 똑바로 정렬되어 있으나, 한쪽 눈을 가리면 사시가 발현되는 것

② 복시 : 사물이 겹쳐보임

약시 : 교정시력이 잘 나오지 않는 것, 시력표에서 양쪽 눈의 시력이 두 줄 이상 차이가 있을 때

일차성 사시, 이차성 사시
- 일차성 사시 : 원인을 알 수 없이 사시가 발생한 것. 대부분 일차성
- 이차성 사시 : 한쪽 눈이 실명되거나, 수술 후에 발생하는 것

마비 사시
- 신경핵, 신경, 근육 자체의 명확한 마비에 의해 발생하는 것
- 외상이나 뇌출혈, 뇌경색, 신경 질환, 근골격 질환 등에 의해 발생.

조절성 사시
- 조절 기능 : 근거리를 볼 때 눈에 있는 근육이 수축하면서 수정체가 두꺼워져 굴절력이 상승하는 것
- 조절 기능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사시
- 소아의 원시와 관련되어 나타나는 조절내사시가 대표적
- 원시를 교정할 때 사시가 교정됨

⑦ 항상성 사시, 간헐성 사시
- 항상성 사시 : 사시가 항상 발현되어 있는 상태
- 간헐성 사시 : 때때로 사시가 되는 상태 -> 간헐 외사시가 우리나라 소아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

* 사시 테스트

인터넷상에 사시 테스트라고 해서 많이 올라와있는게 보일텐데요.
사실 확실한 상태에서는 테스트 없이 바로 병원을 가겠죠?
그런데 긴가민가 한 상태에서는 자가테스트를 해보아도 순간적인 것만으로는 정확히 알기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시가 의심이 된다면 병원에 가서 정확한 검사와 진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엔 이렇게 사시의 원인, 증상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다음 글에는 사시에 대한 검사와 치료, 수술에 대해 가지고 오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