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edical Info/눈.코.귀.인후(otorhinolaryngo)

편도선염(편도염)의 증상, 치료, 수술, 전신마취

by 가늬상식 2022. 10. 26.
반응형


안녕하세요:)
의사와 간호사가 알려주는 의학정보 가늬상식입니다!
이번에 다뤄볼 내용은 본인 또는 가까운 주변 사람이 한 번쯤 걸려봤을만한 편도선염(Tonsillitis)인데요☺️ 많은 분들께서 편도염이라고 부르기도 하세요.
이렇게 흔하게 접하는 질환인 만큼 편도선염의 증상, 치료, 수술, 전신마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급성 편도염은 소아기, 청년기에 주로 발생하며 상대적으로 다른 연령층에서는 발생률이 낮습니다.
호흡기 감염빈도가 높은 유소아기에 편도는 비대해졌다가 그 이후로 위축되는데요. 이와 같이 유년기 감염을 방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어요!

* 편도선염이란?

편도선염에 대해 알아보려면 편도가 무엇인지 먼저 알아야겠죠? 용어정리부터 갈게요☝️

- 편도 : 목안, 코의 뒷부분에 위치하여 우리 몸의 면역기능을 수행하는 기관. 위의 사진과 같이 인두편도, 귀인두관편도, 구개편도, 혀편도가 존재함
- 편도선염 :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전신의 저항력이 감소하였을 때 편도 내 급성 감염이 일어나는 것 -> 주로 구개편도에 발생

* 원인


급성 편도선염은 피로나 과로로 인해 저항력이 감소했을 때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합니다.
- 미취학 아이들은 바이러스, 그 이후의 아이들은 세균 때문에 걸리는 경우가 많음

* 증상


증상은 보통의 감기와 비슷하다고 느껴질 수 있는데요. 자세히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 고열, 오한, 인후통, 기침
- 편도가 붓고 목 부위의 건조감
- 음식을 삼킬 때 연하(삼킴)곤란, 통증
- 두통, 전신 쇠약감, 관절통 등 신체 전반에 걸친 증상
- 혀의 표면이나 구강 내에 두껍고 끈적끈적한 점액

🏩저도 22살쯤 편도선염을 앓았던 적이 있는데 워낙 감기도 잘 걸리지 않는 체질이라 편도선염 걸렸을 때가 지금까지도 제일 힘들고 아팠던 기억인 것 같아요^^,,, 저 또한 일반 감기인 줄 알고 병원에 갔는데 열이 39도라고 수액맞고 가라고 했던 기억이ㅋㅋㅋㅋ.. (코로나 걸렸을 때도 열은 안났답니다..ㅎㅎ)

* 진단


급성 편도염은 환자의 증상 파악 및 신체 검진을 시행하여 진단할 수 있습니다.

- 구인두의 발적, 부종, 삼출물 등의 유무
- 세균 배양 검사, 인두 도말 검사 : 감염원을 알아보기 위함
- CT : 농양의 형성, 심경부 감염등의 유무 확인

 

반응형

*치료


급성 편도염 치료에는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급성 편도염은 대개 자연적으로 증상이 좋아지며 세균성 급성 편도염의 경우 적절한 항생제 투약 후 4-5일 이내에 증상이 호전돼요😀

1. 비수술적 치료
- 염증을 제거하고 증상 완화를 위한 적절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
- 충분한 휴식, 수분 섭취, 소염진통제 복용, 항생제 치료

2. 수술적 치료
- 1년에 3~4회 이상 편도염이 재발하는 재발성 편도염의 경우 편도절제술을 시행
- 4세 이상부터 많이 시행
- 편도 비대로 인해 치아 부정 교합이나 안면골 발달의 장애가 생길 때도 수술을 권할 수 있음

* 편도절제술과 전신마취


편도절제술은 전신마취로 진행이 되는데요~ 정말 어린 애기들부터 20대 초반까지 다양한 나이대 분들이 오십니다ㅎㅎ

1) 편도절제술 시간
편도절제술의 경우 마취시간을 빼면 거의 30분정도면 끝나지만 출혈이 있다거나 수술부위가 잘 보이지 않는다거나 하면 조금 더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점! 그래서 저희 병원은 전신마취시간까지 해서 1시간 전후로 끝난답니다^^

2) 소아 편도절제술
소아의 경우 애기 혼자 수술방에 들여보내는 부모님의 마음이 제일 안좋으실텐데요.. 그래서 많이 울고 보채는 애기들은 기억에 남지 않게 해주고자 수술실에 들어가기 전 먼저 살~짝 재우고 들여보내요🙂 저희도 최대한 아이가 울지 않도록 관심사를 돌리려 노력한답니다 하핳

3) 수술 후 통증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까지는 수술 후에 조금 힘들어하고 그 이후의 분들은 좀 괜찮아 하시더라구요ㅎㅎ 아이들의 경우에는 회복실에서 보호자 면회도 가능하고, 아파하시는 분들은 진통제도 놔드리니 많은 걱정 하실 필요 없어요!!

4) 합병증
가장 흔한 합병증은 출혈이며 출혈의 경우 수술 후 일주일 정도 지날 무렵에 가장 많이 발생해요. 수술 후에는 출혈이 소량 관찰되어도 응급실에 찾아 진료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편도선염(편도염)에 대해 수술 및 전신마취까지 자세하게 알아보았는데,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 더 유익한 정보로 찾아올게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