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의사와 간호사의 의학정보 가늬상식입니다!
오늘 다뤄볼 내용은 기흉(Pneumothorax)인데요. 한번쯤 들어보셨을만한 질병이지만 정확히 알고계시는 분들은 드물거라고 생각해서 가져와봤습니다🙂
그래서 이번엔 기흉의 원인과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기흉이란?
용어가 어려울 수 있으니 사진과 함께 용어정리부터 갈게요☝️
- 능막강 : 폐를 중심으로 내외로 감싸고 있는 두 겹의 장막 사이의 공간
- 기흉 : 폐에 생긴 구멍으로 공기가 새면서 늑막강 안에 공기가 차는 질환
* 원인
1. 자연기흉
1) 일차성 자연기흉
: 폐의 표면에 풍선처럼 부푼 폐기포가 저절로 터지면서 구멍이 생겨 들이마신 공기가 흉강으로 새어 나가 발생
① 질병이 없는 키가 크고 마른 남자
② 흡연 - 일차성 자연 기흉 환자의 90% 이상이 흡연자
2) 이차성 자연기흉
: 폐에 발생한 질환이 원인이 되는 기흉
① 비교적 나이가 많은 사람(50대 이상)
② 천식이나 폐렴, 결핵, 만성 폐쇄성폐질환, 악성종양 등
2. 외상성 기흉
- 교통사고나 낙상에 의해 갈비뼈가 골절되면서 인접해 있는 폐를 찔러 손상
- 칼 등 날카로운 물체에 가슴 부위를 찔리거나 총에 맞아 발생
- 수술이나 시술 이후 발생하기도 함
3. 긴장성 기흉
: 공기가 단일 방향으로만 유입되어 흉강 속의 압력이 점점 높아지는 상태
- 기흉이 발생한 쪽 폐가 완전히 찌부러지고 심장과 반대쪽 폐를 압박
- 심한 호흡 곤란과 청색증, 저혈압 등이 발생
- 즉각적인 응급조치가 필요
* 증상
빈 공간에 공기가 들어가 폐를 찌그러뜨리면서 흉통과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① 흉통
- 가장 흔한 증상
- 보통 24시간 이내에 좋아짐
- 폐기포가 처음 터지는 순간에 날카롭게 찌르는 듯한 통증
- 점차 둔하고 지속적인 통증으로 바뀜
② 호흡곤란
- 기흉의 크기가 커질 경우 점점 심해짐
- 호흡 곤란은 폐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서 더 심하게 나타남
기흉도 다 같은 기흉이 아니라는 점! 많은 분들께 유용한 정보가 됐으면 좋겠고, 다음엔 기흉의 치료(수술)에 대해 가지고 오겠습니다^^
'Medical Info > 호흡기계(Respira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면무호흡증의 원인, 증상, 치료, 수술, 전신마취 (0) | 2023.01.10 |
---|---|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원인, 증상, 치료 (1) | 2022.12.21 |
기흉의 치료(흉관삽입술, 흉강경수술, 전신마취)와 재발 (2) | 2022.11.15 |
천식의 원인, 증상, 치료, 천식약 (0) | 2022.10.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