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edical Info/호흡기계(Respiratory)

기흉의 치료(흉관삽입술, 흉강경수술, 전신마취)와 재발

by 가늬상식 2022. 11. 15.
반응형


안녕하세요:)
의사와 간호사의 의학정보 가늬상식입니다!
오늘 다뤄볼 내용은 지난 글에 이어 기흉(Pneumothorax)에 관해 알아볼건데요~
지난 글에서는 기흉의 원인과 증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다면 이번엔 기흉의 치료(수술)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 기흉의 원인과 증상 알아보러가기

 

반응형


* 치료

기흉의 치료 방법은 환자의 상태 및 재발 여부 등을 바탕으로 결정해요.
치료의 목표는 흉강 내에 있는 폐에서 누출된 공기를 제거하여 폐의 재팽창을 유도하고, 흉강을 효과적으로 폐쇄하여 재발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1. 관찰
- 기흉의 크기가 작고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산소를 투여하면서 폐의 구멍이 저절로 아물 때까지 기다림

2. 흉곽 천자, 흉관 삽관(시술)

- 기흉의 크기가 크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
- 공기를 뽑아내어 폐를 팽창시켜주는 치료법

3. 흉막유착술
- 흉관삽입술 시행 이후에도 공기가 계속 새는 경우
- 흉관을 통해 약품을 투여해 공기가 새는 부위를 막는 방법

4. 수술적 치료
- 공기 유출이 일주일이상 지속되는 경우
- 재발성 기흉
- 양측성 기흉(양쪽 폐에 생기는 기흉)
- 폐에 아주 큰 공기주머니가 보이는 경우
- 흉관삽입술만으로 폐가 펴지지 않는 경우
- 혈흉, 농흉 등 합병증이 있는 경우

* 재발

- 처음 발생한 기흉을 관찰이나 흉관 삽입술만으로 치료한 경우, 재발할 확률은 50%
- 2회에 걸쳐 재발한 경우, 3회 이상 재발할 위험이 80~90%
- 흡연을 하는 경우 재발 확률이 높기 때문에 절대 금연

* 쐐기절제술

- 최근에는 대부분 비디오 흉강경 수술을 통해 작은 절개만으로 가능
- 폐의 기포가 있는 병변을 절제하는 수술법
- 흉터가 작고, 수술 후 통증이 적으며 환자의 회복 기간도 빠름

* 전신마취

수술은 전신마취 후에 환자를 기흉이 생긴 부분이 위로 올라가게 옆으로 돌립니다. 양 옆으로 넘어지지 않게 고정한 후 수술은 진행되게 되는데요.
전신마취 후에도 환자는 기계로 숨을 쉬고 있기 때문에 당연히 폐가 움직이겠죠? 그럼 수술에 방해가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흉이 생기지 않은 쪽의 폐로만 숨을 쉬게끔 기관내튜브를 조절한답니다!
간단한 기흉에서의 쐐기절제술은 30분도 채 되지 않아 끝나고 마취시간포함해서 1시간정도 소요되며 회복실에 나가서 무통주사를 달게 됩니다^^



오늘은 이렇게 폐암의 치료(수술)에 관해서 알아보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