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edical Info/내분비계(Endocrine)

당뇨병의 증상, 수치, 치료, 인슐린

by 가늬상식 2022. 10. 13.
반응형

안녕하세요:)
의사와 간호사가 알려주는 의학정보 가늬상식입니다
이번에 두번째로 다뤄볼 내용은 고혈압을 뒤잇는 대표적인 질환인 !
당뇨병(Diabetes mellitus) 이에요☺️


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 약 7명 중 1명은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유병률은 13.8% 라고 하네요.
당뇨병 전단계까지하면 훨씬 많을거라는..😱

당뇨병이란?


위에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 몸엔 췌장이란 곳이 존재하는데요, 여기에서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고 이 인슐린이 혈당을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ᴗ●̑

당뇨병은 흔히들 몸에 당이 높은거라고 알고 계시죠? 틀린말은 아니지만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볼게요☝️

- 혈당 : 혈액 속에 함유되어 있는 포도당

- 당뇨병 :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 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혈당이 상승하며, 이로 인해 혈당이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

- 제1형 당뇨병 : ‘소아 당뇨병’, 인슐린을 전혀 생산하지 못하는 것이 원인

- 제2형 당뇨병 : 인슐린이 상대적으로 부족, 인슐린 저항성(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

조~금 어려우실까봐 간단하게 정리해드릴게요^^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 -> 인슐린의 부족, 기능저하 -> 당 제거X -> 혈당상승 -> 당뇨병❗️

원인


당뇨병은 명확한 원인이 있다기 보다 환경적 요인이 당뇨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1) 유전 인자
2) 환경 인자 : 고령,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임신, 췌장 수술, 감염, 약물(스테로이드제제, 면역억제제, 이뇨제) 등

증상


약한 고혈당에서는 대부분의 환자들이 증상을 느끼지 못한다고 해요.
고혈당이 심해질수록 아래와 같은 다뇨, 다갈, 다식의 대표적인 증상들이 나타납니다😢

1) 소변량 증가 : 소변으로 포도당이 빠져나갈 때, 수분을 같이 끌고 나감
2) 심한 갈증 : 수분 부족으로 인함
3) 피로감, 체중 감소 : 잘 먹음에도 불구하고 영양분이 몸에서 이용되지 않고 빠져나감 -> 많이 먹게 됨
4) 눈 침침함, 손발 저림, 여성의 경우 질 소양증

진단


정맥혈을 채취하여 포도당 농도 측정 검사를 하며, 다른 날에 반복 검사를 시행하여 두 번 이상 진단 기준을 만족할 때 당뇨병으로 진단
- 아래 기준 중 한 조건만 만족하면 당뇨병으로 진단

① 당뇨병의 특징적인 증상인 물을 많이 먹고 소변을 많이 보는 증상이 나타남. 다른 특별한 원인으로 설명할 수 없는 체중 감소가 나타남. 식사 시간과 관계없이 측정한 혈당이 200mg/dL 이상
② 8시간 동안 열량 섭취가 없는 공복 상태에서 측정한 공복 혈당이 126mg/dL 이상
③ 경구 당부하 검사에서 75mg의 포도당을 섭취한 뒤 측정한 2시간째 혈당이 200mg/dL 이상

🏩 병원에서 환자분들 검사수치를 보다보면 생각보다 내당능장애(당뇨전단계) 또는 당뇨이신분들이 많은데 당 수치가 높다는걸 거의 모르고 계셔유,,하핫

예방 및 치료


- 식사&운동 요법 : 가벼운 당뇨병의 경우 치료 가능(제1형 당뇨병 제외). 비만, 좌식 생활, 고지방 식사, 스트레스 , 음주 등을 피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해야함

- 약물 요법 : 식사 및 운동 요법만으로 혈당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함께 병행
=> 경구 혈당강하제와 인슐린 주사 - 당뇨병의 종류, 환자의 상태, 합병증의 유무에 따라 치료 약물을 선택함

우리 모두 건강한 생활을 위해 꼭 운동 합시다!!!🏃🏼‍♀️

합병증


당뇨는 합병증이 정말 무서운 병인 것 같아요.. 동시다발적으로 오는 합병증을 보면 귀찮더라도 열심히 관리해야겠다라는 생각이 들거든요ㅜ

급성 대사성 합병증 : 혈당이 너무 올라가거나 떨어져서 발생하는데, 적절한 조처를 취하지 않으면 의식 이상이 발생 ->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음
- 당뇨병성 케톤산증 :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감염, 인슐린 치료에 대한 환자의 순응도 저하나 충분하지 않은 양의 인슐린 투여, 과다한 음주

만성 합병증 : 당뇨병이 오래 지속되어 큰 혈관과 작은 혈관들이 좁아지거나 막히면서 발생
- 동맥경화증 : 심장, 뇌, 하지에 혈액을 공급하는 큰 혈관에 생김
- 망막, 신장, 신경 : 미세 혈관의 합병증으로 시력 상실, 만성 신부전, 상하지의 감각 저하 및 통증을 유발

🏩 병원에서 일하다보면 말초혈관질환으로 다리에 재생능력이 떨어지면서 발에 상처가 생겨 감염이 되고 결과적으로 발을 절단하게 되는 경우를 많이봐서ㅜㅜ 정말 무서워요!!

당뇨약


당뇨약은 크게 먹는약, 주사약으로 나뉘어요.
당뇨약은 특히나 복용 또는 투약하시는 환자분들이 잘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으시죠?
그래도 혹~시나 잘 모르시는 분들, 본인 약이 뭔지 궁금하신 분들은 한번 알아볼까요?😆

① 경구 혈당강하제
1) 인슐린 분비 촉진제
- 설폰요소제(sulfonylurea) : 저혈당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 외에는 큰 부작용 없음
- 메글리티나이드(meglitinide) : 약효가 매우 빠른 제제로 식전에 복용

2) 인슐린 감수성 개선제
- 바이구아나이드(biguanide), 치아졸리딘다이온(thiazolidinedione) : 단독으로 복용 시 저혈당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

② 인슐린 주사
- 피하주사로 투여하는 것이 원칙, 작용 시간에 따라 투여 방법이 다르며 먹는 약에 비해서 혈당강하 효과가 더 빠르게 나타남

1) 초속효성(rapid-acting) : 투여 후 15분 이내에 대부분 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하여 약효는 보통 3~4시간 지속된다. 따라서 식사 직후나 직전에 투여하며, 식후 혈당을 조절하는 데 용이

2) 속효성 : 투여 후 30분에서 1시간 후에 효과를 나타내며, 약효는 보통 2~4시간 지속

3) 중간형 인슐린(NPH insulin) : 투여 후 1~3시간 후에 효과를 나타내며, 약효는 보통 12~16시간 지속되고 투여 6~8시간에 최고 효과

4) 지속형(long-acting) : 중간형 인슐린보다 작용 시간이 더욱 김


🏩 본인이 복용하시거나 투약하시는 약이 어떤 성분인지, 어떤형인지 궁금한데 잘 모르겠다! 하시는 분들은 댓글 남겨주시면 답변 드릴게요^^


오늘은 당뇨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유익한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모두 건강관리 잘 하자구용💓

 

반응형

댓글